제 20대 대선 재외국민 유권자 등록 '매우 저조'

제 20대 대선 재외국민 유권자 등록 '매우 저조'
  • 19대 대비 22.9% 감소해 전체 재외국민들중에서 11.51% 수준
  • 선거권 부활 요구했던 영주권자들의 등록 수는 전체 유권자의 1.60%에 불과
  • 재외선거 홍보 턱없이 부족하고, 재외국민 선거만 선거법으로 묶어 '묻지마 투표'로 관심 부족

제20대 대통령 재외국민선거인 (국외부재자 및 재외선거인) 등록자 수가 23만1,314명으로 잠정 집계되어, 전체 재외선거 유권자의 11.51% 수준에 그치면서 또한 번의 실망감을 안겨 주었다.
게다가, 제19대 대선 당시 유권자 등록자 수의 77.05%에 그쳐 66,672명이 감소했다.
특히,재외선거인(영주권자)의 유권자 등록자 수는 3만 2,158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1.60%, 등록된 유권자의 13.91%에 불과해 재외선거 유지에 대한 회의감과 함께 국내 정치권이나 정부의 관심이 그만큼 멀어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제20대 대선을 위해 영주권자들을 제외한 국외부재자 수는 19만9,156명으로 전체 유권자 수의 9.91%였고, 전체 유권자 등록 수들 중에서 86.01%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월 10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제20대 대선의 경우 재외국민 총 2,511,481명중에 예상 유권자 수는 2,009,192명이고,이들 유권자들의 11.51%에 불과한 231,247명만이 유권자 등록을 마쳐 선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지난 19대 대선과 비교하여 무려 22.9%가 낮아 거의 66,672 명이 적게 등록함으로써 갈수록 유권자 등록과 선거 참여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던 재외 한인 사회에 찬물을 껴앉겼다.
지난 19대 대선의 경우 20대와 같은 선거 환경에서 전체 재외국민 2,472,746명중 전체 유권자 수는 1,978,197명이었고 이 유권자 수의 15.06%인 297,919명이 등록했었다.
국외부재자란 해외에 거주하면서 국내에 주민등록이 살아 있는 국민들로 주재상사원,외교관, 유학생, 현지 기업에 근무하면서 아직 영주권을 받지 않은 현지 근무자 및 그 가족들과 전세계 10여만명에 가까운 워킹홀리데이 젊은이들을 말한다.
재외 선거인(영주권자) 등록자 3만 2,158명들중에서 영구명부 등재자가 2만3,310명,그리고 신규 신고·신청자 8,848명이었다.
영구명부 등록이란 한 번 유권자 등록을 하면 총선,대선을 합쳐 연이어 2회 선거에 불참하지 않는 한 등록 자격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영구명부 등재자들중에는 이미 사망했거나, 거주국 국적 취득, 그리고 한국 귀국(역이민) 등으로 일부는 재외국민 유권자 자격을 상실해 실제 그 수는 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일부 재외국민들이 코로나의 재난을 피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숫자도 상당하고 이들이 한국내에서 투표할 것으로 예상되어 재외 유권자 등록수는 실제보다 많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19대 대비 전세계에서 영주권자의 등록자 수가 600명 정도의 차이여서 최대 몇 백여명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전세계에 나가있는 워킹홀리데이 젊은이들 10여만명중에 상당수가 이번 유권자 등록에 참여했을 것으로 예상되어 재외 유권자 수 확대에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각 정당과 후보들에게는 지대한 관심이 필요하고,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같은 재외국민들의 유권자 등록이 저조한 것은 결국 선거 환경도 중요하지만 선거 이슈와 정책 및 관심이 중요함을 반영 한다.

각국 한인회의 선거 참여 독려 등 부족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 수 등록 저조의 1 차적 책임은 재외 유권자들에게 있지만, 매년 재외동포재단이 주최하는 한인 회장 대회에 거의 20여년 동안을 재외국민 선거권 부활을 외쳐 대었던 각국 한인회의 활동 부족이나 무관심에 있다.
해외 한인 사회가 정치권이나 모국 정부로부터 관심을 받기 위해서는 한인회 등 한인 단체들이 적극 나서 한인들의 선거 참여를 독려해 재외국민들의 주권 행사로 인한 힘을 모았어야 했다.
하지만, 해외 한인회,이름만 걸고 있는 유권자 연맹 등을 비롯한 한인단체들의 선거 참여 독려가 극도로 빈약했거나 아예 활동 자체도 하지 않아 한인 사회에 분위기를 고조시키지 못했다.

세계한인총연합회, 50만 유권자 동원 발표
허풍 속에 오히려 19대보다 낮은 등록 기록

이번에 새로 설립된 세계한인총연합회는 50만명 등록을 목표로 뛰겠다고 했는 데, 50만명은 커녕 19대보다 오히려 68,883 명이나 더 적게 등록해 '허풍'만 치는 단체로 빈축 받고 있다.
실제로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 등록을 위해 한 일이 전혀없었던 '무용지물'의 단체였다.
자신들은 한인회 등에 협조 요청을 말로는 했을 지도 모르겠으나, 이들 한인회들도 자신들 활동도 제대로 못할 정도로 예산이 없거나 무관심으로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세계한인총연합회는 처음 설립때부터 해외 동포 사회에서 '무용지물,옥상옥단체,동포재단(결국 동포 예산) 예산만 갉아먹는 단체'가 될 것으로 예견되어 왔다.
이미 대륙별로 총연합회가 있지만, 그들조차 자신들의 대륙에서 재역할을 못하는 무용지물의 단체로 한인 사회에 실질적으로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이런 세계한인총연합회 운영 등조차도 재외동포재단의 예산 등 지원을 받아 개최될 것이기에 재외동포 한인사회의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렇게 대륙별 한인대표 단체도 무용지물인 가운데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취임이후 한인들의 관심도 받지 못하는 세계한인총연합회가 설립되어 '무용지물 단체,옥상옥 단체,결국 재단 예산 축낼 단체'로 빈축 받고 있는 것이다.

중앙선관위의 재외 선거 홍보는
예산 핑계로 재외 유권자들 외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과 문제점도 다음 선거를 위해 지적 받아야 한다.
중앙선관위는 예산을 빌미로 극히 일부 동포 지면 언론사들만을 통한 홍보에서 1/3 크기로 단 2 차례만 홍보했다.
물론,선관위 파견 공무원이 주재하는 국가들은 추가로 홍보를 해 이를 모두 합쳐도 역시 턱도 없었다.
대부분의 동포 언론들이 무가지,주간지이다보니 넓게 배포도 어려운 실상이다보니, 2회 홍보로는 많은 유권자들이 선거 관련 정보를 접하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실제로 홍보가 게재된 발행 시기에 동포 언론을 접하지 못하거나 동포 사회와 잦은 연결을 갖지 않는 많은 동포들은 선거 정보는 물론이고 유권자 등록 마감 날짜마저 몰라 놓치는 경우도 허다할 수 밖에 없다.
한국 내에서는 선거 때가 되면 신문, 방송, 길거리 곳곳에서 유세 및 플랭카드 설치 등으로 누구나 선거 관련 정보를 수없이 접하게 되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선거법 개정해서 재외 동포 사회에
각 정당들과 후보들도 충분히 홍보 할 수 있어야

현행 재외 선거법은 정당과 후보들의 재외국민들을 위한 정책 발표 등을 위한 최소의 비용 지출마저도 못하게 특별 배려(?)해주어, 재외 동포 지면 신문에는 어떤 정책이나 공약도 발표할 수 없게 되었다.
한 마디로 재외 유권자들을 고려하지 않고 정당과 후보들의 예산만을 절약할 수 있게 제정된 법안이다.
이로인해 재외 유권자들은 정당과 후보의 재외 국민들을 위한 정책을 전혀 접하지도 못하고 '묻지마 투표'를 하다보니 재외선거에 관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물론 선거 홍보기간인 한 달동안에는 인터넷 홍보는 가능하다고 해도, 영세하고 수 백개에 달하는 한인 인터넷 들중에 어느 인터넷에 게재될 지도 모르고 인터넷 주소도 몰라 정당이나 후보의 정책 및 홍보를 일일이 찾아 읽어 볼 수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 기간은 유권자 등록 마감이 선거일을 앞두고 50일 전에 마감되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우선 등록을 해야하는 모순도 안고 있다.

국회 정개특위
재외선거 추가투표소 설치 확대 결정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지난 1월 5일 재외선거의 추가투표소 설치 확대를 결정해 발표했지만, 유권자 등록 마감 전에 해외 동포 사회에 전혀 전달이 되지 않아 이번 대선에서 유권자 등록에는큰 영향을 주지 못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에 정개특위를 통과한 안에 따르면, 각 재외공관 관할구역별 재외국민 수 3만명 당 투표소 1개소를 추가 설치(최대 3개소)하는 것으로, 이번 대선에서 약 39개 재외투표소가 이전보다 추가 설치될 전망이다.
하지만, 해외 한인 거주 도시중에 불과 몇 개 도시를 제외하고 3만명 이상인 곳은 한인들이 거주하는 전세계 최소 180여국에 대부분의 국가들 한인 사회의 경우는 해당이 안되어 '그림의 떡'에 불과해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
공동 취재단

**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는 해외에서 정상적인 언론 활동을 하고 있는 언론사 대표/ 발행인들만의 모임이다.

제 20대 대선 재외국민 유권자 등록 '매우 저조'

비사야지역 코로나19 검역경고 3단계 격상

필리핀 코로나19 범정부대응본부(IATF)는 지난 12일(수) 결의안 제156-C호를 통해 1월 14일(금)~31일(월)까지 비사야 지역에 대해 코로나19 방역 경고3단계(Alert level 3)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해외입국자 PCR 48시간 이내 검사로 변경

대한민국에 입국하는 모든 내외국인은 출발일 0시기준 48시간 이내 검사한 PCR 음성 확인서 제출이 의무이다.

시눌룩 행사 2만명 운집

자동차 행렬을 따르는 시눌룩 행사에 2만여명의 군중이 유입되어 평화로운 축제분위기를 즐겼다.

세부지역 일일확진자 최다

2년여만에 세부지역 일일 확진자가 500명이 넘어서며 최악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가격동결조치 위반 적발

필리핀 DTI는 생필품 가격의 동결명령을 준수하지 않는 업체를 엄격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1월 17일부터 세부 지역 시경계 검문소 재개

Border checkpoints to be reimplemented in Cebu province starting Jan. 17 — police

세부시경, 밤 11시부터 새벽 4시까지 엄격한 통금 시행

Cebu City cops to strictly implement new 11pm to 4am curfew

세부지역 코로나19 검역단계 상향, 가이드라인 발표

Cebu City issues Alert Level 3 guidelines

필리핀 세부 코로나상황, 2년 만에 다시 최악

중부 비사야지역, 선거철 총기 금지 조치 순조로운 시작

Central Visayas cops note peaceful start of gun ban

세부지역 코로나19 경보수준 Lv. 3으로 상향, 그러나 락다운은 아냐

No lockdown in Cebu amid Alert Level 3

필리핀 경찰, 가짜 백신카드 주의 요구

PNP reminds public of sanctions against fake vax cards

라마 세부시장, 물공급 문제 해결을 위한 댐 건립 프로젝트 추진

Rama pushes for dam project to solve water supply needs

세부시장, 세부시에 발전소 건립을 원해

Rama wants power plant for Cebu City

Visayan Electric 전력복구율 68.73% 달성

Visayan Electric power restoration hits 68.73%

아카이브

CKN e신문 서비스

카카오톡으로 편리하게 받아보는 부코리안뉴스 e신문 - QR 카카오톡 친구추가 cknnews

광고마감 : 8일, 18일, 28일


코피노사랑회 세부 담당자: 0917-777-2680

(후원 문의 및 CMS자동이체 후원신청)
후원계좌 중소기업은행
091-170499-01-011 예금주 코피노사랑
Kopino Love Foundation

J&K 컨설팅

세부에서의 새로운 사업을 계획하고 계십니까?
법인설립, 비자(은퇴, 결혼, 취업 등), 북키핑, VIP 에스코트 – J&K 컨설팅 (구)여권스탬핑, 신규발급된 여권으로 이전 대행

세부부동산 114

세부로 이주를 계획하고 계십니까?
이민, 콘도구입, 투자, 이사, 입주 – 세부부동산 114

세부코리안뉴스

사업을 위한 동반 파트너를 찾으십니까?
세부최초의 교민신문, 광고주와 더불어 성장하는 Cebu Korean News

J&K임펙스

필리핀과 한국을 잇는 무역通이 바로 곁에 있습니다.
필리핀 세부를 허브로 삼아 한국과 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전문무역업체 – J&K임펙스

0917-633-9025 / 0927-365-0114 J&K플러스톡 J&K GROUP

Mon-Fri 오전 8:00~오후 6시 (오후 12~1시 점심시간)

CONTACT

Lets get in touch. Send us a message:

세부코리안뉴스
© 2007-2020

+63 927-316-4567 / +63 917-777-2680
ckn@jnkgroupph.com
Cebu Korean News CKNNEWS

Address: Galcor Bldg., Eldorado Subdivision
cor. Gov. M. Cuenco Ave., Banilad, Cebu City
Mon-Fri 오전 8:00~오후 6시 (오후 12~1시 점심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