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terfly Effect Breast Pack
Made in Korea!
그의 꿈은 여전히 살아 있다!
1968년 4월 4일, 자유와 평등 그리고 사랑과 평화를 외치던 마틴 루터 킹 목사가 한 백인우월주의자의 총탄에 맞아 숨을 거두었다. 목회자이자 흑인 민권운동가로 39년의 짧은 시간을 불꽃처럼 태운 그의 생애는 여전히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그 울림은 서거 50년이 지난 지금도 미국은 물론 세계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다. 그가 세상을 떠난 4월 4일에는 5만여 명의 참가자들이 워싱턴 D. C. 광장에 모여 대규모 행진을 벌였고, 킹 목사의 애틀랜타 자택과 몽고메리에 있는 기념관에서도 각종 행사가 이어졌다.
서거 50주기에 맞춰 대대적인 추모 캠페인도 열렸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영상을 통해 “모든 어린이들을 위한 정의와 평화, 기회균등이 실현되기를 염원”한다고 했고, 팝스타 스티비 원더는 “킹 목사는 50년 전 세상을 떠났지만, 여전히 그의 꿈은 살아 있다”고 선언했다. 이 외에도 나오미 캠벨, 본 조비 등 유명 인사들이 참여한 이 추모 캠페인에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도 함께해 큰 화제가 되었다. 방탄소년단은 영상을 통해 “모든 사람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기를 기대한다”는 바람을 전 세계인에게 전했다.
온 삶을 바쳐 흑인들의 인권 신장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분투한 킹 목사의 꿈은 전 세계인이 공유하고 있지만, 아직도 미완未完이다. 전 세계에서 인종차별은 여전하며, 킹 목사가 흑인 민권 향상을 위해 고군분투한 미국에서는 지금도 경찰이 비무장 흑인에게 총을 쏴 죽게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킹 목사는 50년도 전에 자유와 평등, 사랑과 평화가 넘실거리는 세상에서 우리의 자녀들이 살아갈 수 있다는 꿈을 이야기했다. 그 꿈은 여전히 살아 있으며, 우리 모두가 함께 이뤄가야 할 꿈이기도 하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배움이 깊었다. 모든 운동을 시작하는 데는 결단력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운동의 추진력이 되는 철학적 깊이가 있는 배움이 필요하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이 추진력을 찾기 위해 애썼고, 수많은 사상가들과 간디 그리고 더욱더 깊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나아갔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전략적으로 운동을 전개했다. 막무가내식 운동이 아니었다. 원하는 목표를 이루어내기 위해 기도뿐만 아니라 사람들끼리 모여 전략을 세우고, 운동 과정을 꼼꼼히 살폈다. 전략적으로 몸을 사려야 할 때도 있었지만 군중을 생각하여 그 전략적 선택을 저버린 경우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낳았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의 투쟁은 흑인차별 철폐 운동에만 멈추지 않았다. 그 너머 '빈곤'이라는 문제, '전쟁'이라는 문제까지 나아갔다. 한정된 포커싱을 맞추면, 더 나아갈 수 없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운동가 이전에 사명 받은 목사였다. 목사였던 그에게는 사회운동을 통해 개인의 구원을 완성시키고자 하는 사명이 있었기에 흑인차별 철폐 운동뿐만 아니라 빈곤, 전쟁 문제까지 나아갈 수 있었다.
그의 방법론에서 간디, 니버, 틸리히 등 많은 등장인물들이 인용되지만, 그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였다. 그가 위협을 받고, 두려움에 빠질 때에도 그가 견딜 수 있었던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했기 때문이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의 꿈은 이루어졌다. 흑인과 백인이 함께 공부한다. 함께 식당에서 밥을 먹는다. 하지만 여전히 빈곤과 전쟁은 우리 곁에 있다. 그가 새로 꾸고 있던 꿈은 후대에게 남겨졌다. 개인의 구원을 풍성히 이루기 위해 사회참여를 말했던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의 의지가 이 책을 통해 아직도 살아 숨 쉬고 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흑인 신학이나, 민중 신학에 빠지지 않았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우리의 바람이 신학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하심인 '구원'을 신학의 중심으로 삼았기에 균형을 잡고 사회운동을 펼칠 수 있었다.
카카오톡으로 편리하게 받아보는 부코리안뉴스 e신문 - QR 카카오톡 친구추가 cknnews
광고마감 : 8일, 18일, 28일
(후원 문의 및 CMS자동이체 후원신청)
후원계좌 중소기업은행
091-170499-01-011 예금주 코피노사랑
Kopino Love Foundation
Lets get in touch. Send us a message:
세부코리안뉴스
© 2007-2020
+63 927-316-4567 / +63 917-777-2680
ckn@jnkgroupph.com
Cebu Korean News
CKNNEWS
Address: Galcor Bldg., Eldorado Subdivision cor. Gov. M. Cuenco Ave., Banilad, Cebu City
Mon-Fri 오전 8:00~오후 6시 (오후 12~1시 점심시간)